가자미의 개발이야기

[네트워크] CDN 본문

Computer Science/네트워크

[네트워크] CDN

가자미 2021. 3. 26. 11:12

a.  DASH (Dynamic, Adaptive, Streaming over HTTP)

서버에서는

비디오 파일을 여러개의 청크로 나누고

청크들을 여러 방법으로 인코딩하고 저장

manifest file : 다양하게 저장된 청크들이 어디에 저장됐는지(URL) 알려주는 파일

 

클라이언트에서는

서버-클라이언트 대역폭(다운로드 속도)을 측정해서

속도에 따라 manifest가 적당하게 인코딩된 청크 위치a. DASH (Dynamic, Adaptive, Streaming over HTTP)

 

서버에서는

 

비디오 파일을 여러개의 청크로 나누고

 

청크들을 여러 방법으로 인코딩하고 저장

 

manifest file : 다양하게 저장된 청크들이 어디에 저장됐는지(URL) 알려주는 파일

 

 

 

클라이언트에서는

 

서버-클라이언트 대역폭(다운로드 속도)을 측정해서

 

속도에 따라 manifest가 적당하게 인코딩된 청크 위치를 찾아 보내준다.

 

b. CDN

지역적으로 여러개의  서버를 두고 중앙서버로 연결.

 

enter deep : 네트워크 엣지에 CDN을 설치하는 방법. 유저와 가깝고 성능도 좋지만..

CDN의 수가 많아지고 관리하기도 힘들다

 

bring home : 네트워크 엣지가 아닌 ISP코어에 저장하는 방법

 
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네트워크] RDT(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)  (0) 2021.04.06
[네트워크] 수송 계층  (0) 2021.04.03
[네트워크] P2P  (0) 2021.03.26
[네트워크] DNS  (0) 2021.03.25
[네트워크] 쿠키, 캐쉬, 이메일  (0) 2021.03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