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자미의 개발이야기
[Node.js] Node.js에서 웹 서버 만들기 본문
const port =3000, //3000이라는 숫자는 별 의미 없음
http = require("http"), //http모듈을 변수에 저장()
httpStatus = require("http-status-code"), //http 상태 코드를 나타냄
app = http.createServer((request,response)=>{ //서버 만들고 변수에 저장
//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동작하는 콜백 함수
console.log("Received an incoming request!");
response.writeHead(200, {
"Content-Type":"text/html"
});//http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음, http 헤더의 기본속성 정의
let responseMessage = "<h1>Hello, Universe!</h1>";//html의 메시지 응답
response.write(responseMessage);
response.end();//반드시 종료를 해줘야함 그렇지 않으면 다른 응답을 못받음
console.log(`Sent a response: ${responseMessage}`);
});
app.listen(port); //애플리케이션 서버에 3000번 포트를 수신하도록 함
console.log(`The server has started and is listening on port number: ${port}`);
중간에 response.writeHead(200....이 눈에 띈다.
원래 교재에서는 httpStatus.OK로 써있었지만 오류가 발생했다.
(애초에 http-status-code 모듈에 OK라는게 없었다.)
그래서 httpstatus의 ok가 어떤 의미인지를 검색해보았는데
ok가 코드로는 200이란다.
그래서 httpStatus.OK를 200으로 바꿔서 해보니 잘 작동했다.
'HTML & CSS & JS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] express를 활용한 웹 개발 (0) | 2021.05.11 |
---|---|
[Node.js] 이벤트 리스너를 추가한 간단한 웹서버 구현 (0) | 2021.03.17 |
[Node.js] 자주 쓰이는 npm 명령어 (0) | 2021.03.11 |
[Node.js] 주요 REPL 명령어 (0) | 2021.03.11 |
노드에 들어가기 앞서 알아보는 노드의 특징 (0) | 2021.03.08 |